부천송내1-1구역 재건축···'송내역 푸르지오 센트비엔'5년 만의 송내동 내 신축···전용 49~59㎡ 225가구 일반분양송내역‧중동역 도보 5분이지만, 초교 등굣길은 다소 아쉬워
26일 오전 1호선 중동역 1번 출구에서 송내역으로 이어지는 1차선 샛길을 따라 250m가량을 걸어가자 도로를 접한 1만3000평이 넘는 아파트 공사 현장과 모델하우스가 보였다. 총 1045규모로 조성되는 '송내역 푸르지오 센트비엔'이다.
'송내역 푸르지오 센트비엔'은 부천송내1-1구역을 재건축한 단지다. 전용 49~109㎡ 총 1045가구로 지어진다. 전용 84㎡ 이상 중대형 주택은 모두 조합원 주택으로 배정됐다. 일반분양은 전용 49~59㎡ 225가구다.
<span class="middle-title">더블역세권 대단지···학교도 가깝지만 대로 건너야 돼
단지는 중앙어린이공원을 중심으로 1단지와 2단지로 나뉜다. 1단지에는 ▲49A㎡ 21가구 ▲59㎡A 87가구가 일반분양 된다. 2단지에는 ▲49B㎡ 27가구 ▲59㎡C 90가구가 일반분양으로 배정됐다.
분양가는 ▲전용 49㎡가 4억9490만~5억2640만원 ▲전용 59㎡는 6억3880만~6억9230만원으로 책정됐다. 발코니 확장비는 전용 49㎡가 776만원, 전용 59㎡ 1078만원이다.
분양일정은 2월6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7일 1순위, 8일 2순위 청약을 받는다. 16일 당첨자를 발표한다. 정당계약은 27~29일 3일간 진행된다.
단지는 2026년 7월 준공 예정인 단지로 인근에선 5년 만에 들어서는 신축 아파트다. 약 600m거리의 래미안 부천어반비스타가 가장 최근에 지어진 단지로 2021년 8월에 입주했다. 약 5년 정도의 차이가 있는 셈이다. 반경 1㎞ 내에 재개발이나 재건축, 신축사업이 가시화된 곳이 없어 장기간 일대의 대장주 아파트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송내역 푸르지오 센트비엔'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송내역과 중동역 사이에 들어선다. 서쪽의 1단지에선 송내역까지 약 300m다. 동쪽에 위치한 2단지는 중동역과 300m로 도보 3~4분 내 거리다. 부평역과 소사역까지 각각 2~3정거장으로 가깝다. 부평역에서는 인천1호선과 GTX-B(예정)으로, 소사역에선 서해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등하교 여건은 다소 불편한 편이다. 송내초등학교까지 약 550m로 송내대로와 상가 거리를 지나가야 한다. 630m거리 부천서초등학교나 350m거리의 송내초등학교와 송일초등학교도 대로를 지나서 가야한다. 40대 방문객 A씨는 "입주할 때쯤 아이가 초등학생이 되는데 혼자 등하교하기엔 부담이 된다"고 했다.
<span class="middle-title">딩크족‧외동가정 노린 평면설계···거실‧부엌 넓게 구성
내부 평면은 딩크족‧외동가정 등 2~3인 가구에 맞춰 구성됐다는 느낌을 줬다. 전용 49㎡와 59㎡ 모두 거실과 부엌을 넓게 설계하고 안방과 침실, 작은 방으로 구성했다.
전용 49㎡(20평)는 통상적으로 방이 2개로 구성된 데 반해 '송내역 푸르지오 센트비엔'은 서비스면적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방 3개로 구성했다. 거실은 TV와 소파를 놓고도 중간에 작은 탁자를 배치할 수 있을 정도로 넓다. 부엌과 일체형으로 만들어 공간이 더 넓어 보이는 맞통풍 구조를 적용했다.
전용 49㎡의 안방은 킹사이즈 침대가 충분히 들어가는 크기다. 다만 붙박이장을 설치하기엔 좁다. 침실도 싱글침대를 두고도 동선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넓다. 작은 방은 침대를 배치하긴 어려울 정도로 좁다. 2~3인 가구라면 작은 방에는 붙박이장을 설치해 드레스룸으로 사용하기 적당하다.
전용 59㎡(25평)도 2~3인 가구를 겨냥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거실과 부엌은 일반적인 아파트의 전용 84㎡와 견주어도 좋을 만큼 넓게 구성했다. 거실엔 TV와 소파, 4인 가족용 식탁을 설치해도 공간이 여유로웠다. 부엌 옆 다용도실엔 세탁기와 건조기를 설치하는 공간 외에도 별도의 수납공간과 작업공간을 배치해 활용성을 높였다.
거실과 부엌을 넓게 구성한 대신 작은방의 크기를 통상적인 전용 59㎡ 주택보다 줄여서 일반적인 아파트의 알파룸 정도의 크기로 구성했다. 작은방에 책장이나 붙박이장이 들어가면 침대를 설치하긴 어렵다.
업계에서는 이 단지의 전용 49㎡의 성패에 따라 향후 1기 신도시와 서울 외곽지역의 평면구성 전략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주력 가구 구성이 3~4인 가구 중심의 사회에서 2~3인 가구로 전환되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업계관계자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소형평면의 분양률이 낮은 탓에 일반분양 물량 대부분은 최소 전용 59㎡ 이상으로 구성하거나, 임대를 노린 원룸으로 조성됐다"면서 "만약 전용 49㎡의 분양 성적이 좋다면 중소형 평면으로 구성된 중층이상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사업성 개선 차원에서 소형평면을 고민하는 곳이 생겨날 것"이라고 했다.
뉴스웨이 장귀용 기자
jim332@newsway.co.kr
뉴스웨이 황예인 기자
yee961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