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23일 목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역대급 보따리 풀었다...삼성 450조·현대차 76조·한화 37조

재계, 尹정부 통큰 투자

역대급 보따리 풀었다...삼성 450조·현대차 76조·한화 37조

등록 2022.05.24 15:58

이승연

,  

이지숙

  기자

공유

삼성, 신사업보국 선언..."반도체 초강대국 이끈다"현대차, 계열사 총동원...미래 모빌리티 패권 도전 SK·LG "대규모 투자 계획 곧 발표...시점은 미정"

재계가 역대급 투자 보따리를 풀었다. 친(親)기업을 강조한 윤석열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대한 화답이자 미래 먹거리를 선점하기 위한 과감한 도전으로 해석된다.

사진=삼성전자 제공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 5년 간 450조원 역대급 투자=24일 삼성그룹은 ▲반도체 ▲바이오 ▲인공지능(AI) 및 차세대 통신과 같은 신성장 IT 등 미래 신사업에 향후 5년간 관계사와 함께 450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삼성이 지난 5년간 투자한 330조원 대비 120조원 늘어난 규모로, 연평균 투자 규모를 30% 이상 늘린 수치다.

총 투자액 450조원 가운데 80%인 360조원은 국내에 투자한다. 지난 5년간 국내 투자액 250조원보다 110조원 증가한 금액이다.

반도체의 경우 30년 간 선도해온 메모리 분야의 초격차를 확대하고 후발주자인 팹리스 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 분야에서 선두로 올라서 반도체 3대 분야를 모두 주도하는 초유의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은 이미 이재용 부회장 결정 아래 2030년 시스템반도체 세계 1위 비전을 정해 171조원 투자를 쏟아붓고 있다.

특히 팹리스 시스템반도체와 파운드리 경쟁력 확보에 더욱 속도를 낼 분위기다.

삼성전자는 △고성능·저전력AP △5G·6G 통신모뎀 등 초고속통신 반도체 △고화질 이미지센서 등 4차 산업혁명 구현에 필수불가결한 팹리스 시스템반도체 및 센서중심으로 경쟁력확보에 집중키로 했다. 파운드리는 미국 반도체2공장 건립을 포함해 선단공정 중심의 기술개발과 투자를 확대할 전망이다.

삼성그룹은 '바이오 주권' 확보를 위해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확대하는 등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 나선다. 중장기적으로는 위탁개발생산(CDMO) 및 시밀러를 축으로 하는 사업구조를 구축, 바이오를 '제2의 반도체 신화'로 키워나갈 계획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건설 중인 4공장에 이어 5,6공장 건설에 나서는 등 더욱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생산기술과 역량을 고도화해 'CDMO 생산량 1등'을 넘어 '압도적 글로벌 1위'를 확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향후 5년간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8만명에 대한 신규 채용도 진행한다. 매년 1만5천명 이상 대학졸업생 등 청년 일자리를 챙긴다는 의미다. 삼성은 지난 2018년 발표한 '3년간 4만명 채용 계획'을 초과 달성했으며 작년에도 3년간 4만명 채용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8만명 채용은 2년간 4만명을 더 채용하겠다는 삼성의 약속이다. 채용 분야는 삼성이 투자를 확대할 반도체와 바이오 등 핵심사업이 중심이 될 예정이다.

출처=연합뉴스출처=연합뉴스

◇현대차, 4년 간 76조 투자=현대차그룹은 전동화·친환경, 신기술·신사업,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오는 2025년까지 4년 동안 국내에 63조원을 투자한다. 최근 발표한 대미 투자 규모 13조원과 합치면 현대차그룹의 총 투자 규모는 76조원으로 불어난다.

국내 투자의 경우 현대차그룹은 우선 미래 성장의 핵심축인 전동화 및 친환경 사업 고도화에 주력한다. 이 분야에 현대차·기아·모비스는 총 16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순수 전기차를 비롯해 수소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전동화 및 친환경 전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순수 전기차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서는 PBV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혼류 생산 시스템 점진적 구축, 기존 공장의 전기차 전용 라인 증설 등을 추진한다. 핵심 부품 및 선행기술, 고성능 전동화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시설 구축 등에 집중 투자한다.

순수 전기차 대중화시대를 대비해 전용 차세대 플랫폼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 2025년에는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Integrated Modular Architecture)' 체계 하에서 개발된 승용 전기차 전용 플랫폼 'eM' 과 PBV 전용 플랫폼 'eS'를 선보인다. 전기차 보급의 핵심 기반인 충전 솔루션, 고객 서비스 등 인프라 부문에서는 2025년까지 외부와의 협업을 통해 국내에 초고속 충전기 5000기를 구축할 예정이다. 배터리, 충전,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장치로 활용하는 UBESS(Used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등의 영역에서도 다양한 신사업을 추진한다.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는 2025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연간 최대 15만대 규모의 국내 최초 신개념 PBV 전기차 전용공장이 들어선다. 수소 사업 부문에서는 승용, 버스, 트럭 등 차세대 제품과 함께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율개선 및 원가절감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전용 부품 연구시설 인프라를 확충한다. 연료전지 시스템의 광범위한 활용을 위한 실증 사업, 수소 관련 원천기술 및 요소기술 강화를 위해 외부 스타트업에 대한 활발한 투자도 추진한다.

현대차·기아·모비스는 이와 함께 로보틱스,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커넥티비티,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인공지능(AI) 등 미래 신기술 개발 및 신사업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8조9천억원을 투자한다. 완성차를 넘어 '인류를 위한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는 복안이다.

현대차그룹은 앞서 지난 21∼22일 미국 조지아주의 전기차 전용 공장 및 배터리셀 공장 설립과 로보틱스·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도심항공모빌리티(UAM)·인공지능(AI) 등 분야에 대한 총 105억달러(약 13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국내 투자 발표는 미국 투자 발표 이틀 만에 이뤄진 것으로, 국내 산업 활성화를 외면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사진=한화그룹 제공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사진=한화그룹 제공

◇한화, 5년 간 37.6조 투자=한화그룹도 재계의 통큰 투자에 합류한다. 한화그룹은 향후 5년간 미래 산업 분야인 에너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 총 37조6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2만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20조원의 국내 투자는 에너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의 3개 사업 분야에 집중된다. 태양광, 풍력 등의 에너지 분야에 약 4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9000억원은 수소혼소 기술 상용화, 수전해 양산 설비 투자 등 탄소중립 사업 분야에 투자된다. 이를 통해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 우리 나라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한다. 친환경 신소재 제품 개발 등에는 2조1000억원이 책정됐다. 친환경 고부가제품 연구 개발, 크레졸 등 친환경 헬스케어 제품 사업으로 환경 경영에 더욱 박차를 가하는 게 핵심이다.

방산·우주항공 분야에는 2조6000억원을 집행한다. 그룹은 K-9 자주포 해외 시장 개척, 레드백 장갑차 신규 글로벌 시장 진출 등 K-방산 글로벌화를 더욱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또 한국형 위성체 및 위성발사체, UAM(도심항공교통) 등의 분야에서 미래 기술을 선점하고 관련 시장을 개척하는데 앞장선다. 이러한 투자로 국내 우주사업 생태계를 고도화하고 글로벌 우주산업 혁신을 선도하는 허브 역할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이외에도 석유화학 부문 본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설 투자 등에 4조원, 건설 분야 복합개발 사업 확대 및 프리미엄 레저 사업 강화 등에도 2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한화그룹은 향후 5년간 총 2만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해 사회적 고용 확대에도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기계·항공·방산, 화학·에너지, 건설·서비스, 금융 등 전 사업부문에 걸쳐 연평균 4000여명 안팎의 신규 채용을 진행한다.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롯데, 5년 간 37조 투자=롯데그룹도 신규 사업에 향후 5년 간 37조원을 쏟아 붓는다. 신성장 테마인 헬스 앤 웰니스,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부문을 포함해 화학·식품·인프라 등 핵심 산업군에 대한 집중 투자에 나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국내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 이후 위축됐던 유통·관광 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시설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

헬스 앤 웰니스 부문에서 바이오 의약품 CDMO 사업 진출을 준비중인 롯데는 해외 공장 인수에 이어 1조 원 규모의 국내 공장 신설을 추진한다. 모빌리티 부문은 올해 실증 비행이 목표인 UAM(도심항공교통)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 중심으로 투자한다. 화학 사업군은 지속가능성 부문에 대한 투자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 먼저 롯데케미칼은 5년간 수소 사업과 전지소재 사업에 1조6000억 원 이상을 투자한다. 국내 수소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국내외 전략적 파트너와 연내 합작사를 설립하며 수소 충전소 사업과 발전 사업을 추진하며 배터리 전해액, 차세대 ESS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자원 선순환 트렌드에 발맞춰 리사이클과 바이오 플라스틱 사업 분야에서 2030년까지 1조 원을 투자해 친환경 리사이클 제품 100만톤을 생산할 계획이다. 또한 화학 사업군은 7조86000억 원을 투자해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과 범용 석화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설비 투자와 생산 증설에도 나선다. 이를 통해 지역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스타트업 지원에도 앞장선다. 롯데벤처스는 2026년까지 국내 스타트업 투자를 36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롯데벤처스 엘캠프(스타트업 육성 및 투자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푸드테크(미래식단), 헬스케어 등 국민 건광과 관련된 전문 분야로도 투자 영역을 넓힌다.

유통 사업군은 8조1000억원을 투자해 상권 발전 및 고용 창출에 앞장선다. 롯데백화점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 인천 송도 등에서 고용유발효과가 높은 대규모 복합몰 개발을 추진하고 본점, 잠실점 등 핵심 지점의 리뉴얼을 차례로 진행할 예정이다. 롯데마트는 1조 원을 투자해 제타플렉스, 맥스, 보틀벙커 등 새로운 쇼핑 문화를 선도하는 특화 매장을 확대할 예정이다. 호텔 사업군은 관광 인프라 핵심 시설인 호텔과 면세점 시설에 2조3000억 원을 투자해 해외 관광객 유치에 나선다. 식품 사업군도 와인과 위스키를 중심으로 성장하는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대체육, 건강기능식품 등 미래 먹거리와 신제품 개발 등에 총 2조1000억원을 투자한다.

한편 SK와 LG는 이날 투자 계획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이들 역시 곧 대규모 투자 대열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된다. SK는 윤석열 정부의 반도체 육성 계획에 맞춰 하이닉스를 통해 용인 반도체 공장 4곳에 12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청주 팹(반도체 제조공장) 투자도 타진 중이다. LG는 인공지능(AI)와 전장 사업 투자 확대가 예상된다. LG 관계자는 "현재 대규모 투자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며 "다만 발표 시기는 아직 미정"이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