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24일 금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공공성' 잃은 금융사···이자 장사에 눈총

금융그룹 순익 4조의 그늘

'공공성' 잃은 금융사···이자 장사에 눈총

등록 2022.02.13 07:30

수정 2022.02.13 21:54

임정혁

  기자

공유

4대 금융 작년 순이익 14조원···전년대비 34.5% 증가'4조 클럽' '3조 클럽' 나오지만 "이자 장사 결과" 비판금융그룹 중 은행 순이익 비중도 10% 포인트 이상 상승

'공공성' 잃은 금융사···이자 장사에 눈총 기사의 사진

국내 4대 금융그룹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코로나19 확산 여파에 따른 반사이익이라는 비판도 만만찮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억제 정책을 빌미로 금융사들이 공공성을 무시한 채 지나치게 이자 수익에 집중한 결과라는 지적이다.

지난 10일 하나금융 실적 발표를 끝으로 KB, 신한, 우리금융까지 4대 금융의 지난해 순이익을 전부 더하면 14조 5429억원이다. 전년 10조 8143억원 대비 34.5%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KB 4조4096억원, 신한 4조193억원, 하나 3조5261억원, 우리 2조5879억원으로 이들 모두 전년대비 실적이 수직 상승했다. 이 가운데 KB와 신한은 연간 순이익 '4조 클럽' 시대에 들어갔다. 하나는 '3조 클럽'에 입성했다. 우리는 전년대비 98%라는 급상승을 찍어내며 앞자리가 1조에서 2조로 달라졌다.

실적 급상승 배경으로 이자이익 성장률을 꼽는 데엔 이견이 없다. KB(15.5%) 신한(11%) 하나(15.5%) 우리(16.5%) 등 4대 금융그룹 모두 이자 수익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는 앞서 2020년 KB(5.75%), 신한(1.9%), 하나(0.7%), 우리(1.8%)의 이자 이익 성장률과 비교하면 확연하다.

실제로 금융그룹 중 은행 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83%), 하나(64.3%), 신한(58%), KB(57%) 순서로 이는 전년대비 지난해 순이익 성장세 비중 순서와 일치한다.

코로나19 저금리 국면에서 빚내서 투자하는 '빚투'와 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을 받는다는 '영끌'이란 단어까지 튀어나왔지만 예대금리 차이는 요지부동이란 비판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 인상을 고려하더라도 예대금리 차이가 지나치게 벌어졌다는 지적은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억제 메시지가 나올 때마다 꾸준했다. 예대금리 차이는 지난해 말 기준 은행권 2.21% 포인트로 2019년 8월 이후 2년4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금융당국이 "가계 대출 증가율을 억제하라"고 은행을 압박할 때마다 예금과 대출 금리 차이에 따른 은행의 '예대마진'은 지속적으로 상승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특히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 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여서 이를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시민단체인 금융정의연대는 지난해 말부터 "예대금리차가 역대급으로 커지면서 금융당국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2%포인트 넘는 예대금리차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개입해 1.5∼1.8%포인트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은행들의 예대금리차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은 금융소비자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며 "은행 예금금리에 이어 대출금리 점검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대선을 앞둔 정치권에서도 여야를 막론하고 예대금리차이를 직접 손보겠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투명한 예대금리차를 위해 정치권에서 개입하겠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금융그룹 사이에선 호실적을 내놓고도 좌불안석이다. 실적 급상승 속에서도 이를 조명하기보다는 디지털 금융이라는 과도기 속에서 금융 접근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른 은행과 비은행 수익이 모두 상승하는 다각도로 주목받길 원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한 금융그룹 관계자는 "은행 이자 수익으로 실적이 상승했다는 지적에 무조건 반박할 수는 없지만 일각에서 우려하는 예대금리 등은 충분히 투명하게 공시하고 있고 순이자마진(NIM)도 공개하고 있다"며 "시장 상황을 고려해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금융사 입장도 있는데 정부에서 과도하게 개입하겠다는 얘기만 나오는 건 아쉬운 점이 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디지털 금융 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에 기준 금리 인상 등이 겹친 결과라고 볼 수도 있다"며 "금융사 접근성이 용이해지는 상황에서 비은행 수익이나 다른 쪽 실적 추이도 많이 봐줬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