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23일 목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지배력·신사업·기업가치 '세마리 토끼' 잡았다

포스코 지주사 전환

지배력·신사업·기업가치 '세마리 토끼' 잡았다

등록 2022.01.28 12:08

이세정

  기자

공유

임시주총 출석주주 89%가 찬성표 던져단순 철강사 한계 탈피 위한 지주회사 전환인적분할 대신 물적분할, 그룹 전반 지배력신사업 평가절하, '친환경 미래소재 기업' 전환자회사 가치 모두 흡수, 2030년 시총 70兆까지

지배력·신사업·기업가치 '세마리 토끼' 잡았다 기사의 사진

포스코그룹이 28일 개최한 임시 주주총회에서 높은 찬성율로 지주사 전환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오는 3월2일 상장사인 지주사 '포스코홀딩스'가 출범하고, 철강사업 물적분할 법인인 '포스코'는 비상장 자회사가 된다.

이에따라 그룹은 포스코홀딩스에서 계열사 전반으로 지배력이 뻗어나가는 수직구조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지주사 주도의 신사업 추진 속도는 더욱 가속화되고,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에 따른 주가 상승도 전망된다.

포스코는 이날 오전 서울 강남 소재 포스코센터에서 임시 주총을 개최하고 지주사 체제 안건을 가결했다. 임시 주총에는 의결권 있는 주식수 기준 75.6%가 의결권을 행사했고, 출석주주 89.2%가 찬성표를 던졌다.

물적분할 안건은 특별결의 사항으로, 통과 기준이 까다롭다. 주총 참석주주 3분의 2 이상, 전체 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포스코의 지주사 체제 전환 발표 직후 일부 소액주주는 기업가치 하락을 이유로 물적분할을 반대했다. 자회사 상장에 따라 단순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의 주가가 떨어질 것이란 우려였다.

이에 포스코는 지주사 전환 이후에도 사업 자회사를 상장하지 않겠다고 약속했고, 비상장 조항을 정관에 명문화했다.

포스코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은 주주환원 정책이 주효하다고 판단, 물적분할 안건에 찬성하기로 결정했다. ISS와 글래스루이스, 한국ESG연구소, 한국기업지배구조원 등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 4곳도 찬성을 권고했다.

그룹 지배구조는 '포스코→포스코케미칼·포스코에너지·포스코건설·포스코인터내셔널→피앤오케미칼·한국퓨얼셀·포스코에스피에스 등' 사업회사 한 곳이 나머지 자회사를 거느리는 구조에서, '포스코홀딩스→포스코·포스코케미칼·포스코에너지·포스코건설·포스코인터내셔널→피앤오케미칼·한국퓨얼셀·포스코에스피에스 등' 지주사 영향력이 아래로 뻗어나가는 흐름으로 변경된다.

그룹이 지주사 체제를 결정한 배경에는 '단순 철강회사'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한 의도가 크다. 최정우 회장은 취임 이후 이차전지와 수소 등 미래 신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전력투구해 왔다. 그 결과 2020년 재계 순위 7위에서 지난해 4위로 3단계나 뛰어올랐다. 하지만 여전히 철강 중심 회사라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포스코홀딩스는 미래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계열사 사업 개편과 시너지 확보 전략 등을 짜는데 더욱 효율성을 높이게 됐다. 또 그룹 전반의 ESG경영을 전담하게 된다.

포스코는 안전한 인적분할 대신 시장 반감이 큰 물적분할을 선택했다. 물적분할은 모회사가 사업부 일부를 떼 내 신설회사 지분 100%를 선택하는 것이다. 신설 사업회사가 가지던 계열사 지배력이 지주사로 모두 이관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하지만 인적분할과 달리 주가하락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사실상 자체 사업이 없기 때문에 기존주주의 가치가 희석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그룹은 자회사를 비상장사로 남겨두고, 사업상 발생하는 모든 이익을 지주사가 챙겨갈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 철강사업회사 포스코는 지주사의 100% 자회사로, 철강 생산과 판매 사업 일체를 영위하게 된다. 결국 그룹은 주주들을 보호하기 위해 '자회사 비상장' 장치를 마련한 동시에, 그룹 내 확고한 영향력을 구축한 셈이다.

포스코홀딩스 출범으로 그룹이 추진하는 신사업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그룹은 그동안 모태사업인 철강사업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모든 역량이 쏠렸고, 신사업과 관련한 의사결정이나 추진력이 미흡했다고 인정했다. 신사업에 대한 시장 반응 역시 평가절하돼 왔다.

포스코홀딩스는 철강 사업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총 7대 핵심 기반사업을 공격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기업 정체성도 '철강사'에서 '친환경 미래소재 전문기업'으로 새롭게 다져나간다.

이차전지소재 사업은 고객 파트너십 기반으로 오는 2030년까지 양·음극재 생산능력을 68만톤까지 확대하고, 선도 기술 확보로 글로벌 톱 티어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리튬·니켈 사업은 이미 확보한 자체 광산·염호와 친환경 생산 기술을 활용하여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고, 추가 원료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리튬은 22만톤, 니켈은 14만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춘다는 전략이다.

수소사업의 경우 7대 전략국가 중심의 블루·그린수소 글로벌 공급망 구축과 핵심 기술 개발 투자 등으로 2030년까지 50만톤, 2050년까지 700만톤 생산체제를 구축한다.

에너지 분야는 LNG, 암모니아, 신재생 에너지 등 수소경제와 연계한 사업을 확대하고, 건축·인프라 분야는 친환경 및 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시티, 모듈러 등 친환경 건축과 플랜트 사업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식량사업은 조달 지역 다변화와 밸류체인 확장으로 성장을 더욱 가속화한다.

포스코홀딩스는 그룹 미래와 연관된 새로운 분야에도 투자를 계획 중이다. 그래핀과 바이오 등 미래 유망 신수종 분야 투자는 물론 유망 벤처기업을 발굴해 글로벌 유니콘기업으로 키우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계열사 성장은 곧 지주사 성장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특히 포스코홀딩스는 당분간 그룹 내 유일한 상장사로 유지되는 만큼, 자회사 가치가 고스란히 반영된다. 그룹이 세운 '2030년까지 기업가치 3배 이상 증대'와 맞닿아 있다.

전날 종가 25만7500원으로 추산한 포스코 기업가치는 22조5000억원 상당으로, 코스피 13위권이다. 단순하게 3배 이상으로 가정하면, 67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현 기준 시가총액 4위권에 오를 수 DLt다.

최정우 회장은 "포스코그룹은 100년 기업으로 지속 성장하기 위한 중차대한 전환점에 서 있다"며 "경영구조를 지주사 체제로 전환해 철강과 신사업 간의 균형성장을 가속화하고 사업정체성 또한 친환경 소재 기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 성장주로서의 노력이 기업가치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그룹은 조만간 지주사 전환에 맞춰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단행할 계획이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