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24일 금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13℃

  • 강릉 11℃

  • 청주 12℃

  • 수원 12℃

  • 안동 13℃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5℃

  • 목포 12℃

  • 여수 14℃

  • 대구 14℃

  • 울산 14℃

  • 창원 15℃

  • 부산 13℃

  • 제주 17℃

삼성, 오너리스크 한숨 돌렸다···반도체 투자 UP

[이재용 기사회생]삼성, 오너리스크 한숨 돌렸다···반도체 투자 UP

등록 2020.06.09 02:29

임정혁

,  

이지숙

,  

김정훈

  기자

공유

코로나19 위기 속 ‘재계 맏형’ 삼성 역할 부각경영 공백 부담 없애···힘 받는 ‘2030 반도체 비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영장 기각으로 삼성전자 등 삼성 계열사는 일단 긴박한 상황을 피했다.

당초 업계에서는 현재 전문경영인들이 각 계열사 수장을 맡고 있는 만큼, 이 부회장이 구속되더라도 회사 운영은 기존 방침에 따라 차질없이 진행될 것이란 평가가 많았다. 지난 5년간 재판 리스크에서 벗어나지 못해 이 부회장의 구속과 상관없이 언제든 '플랜B' 가동을 위한 비상대응체제를 구축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총수가 구속된 상태라면 중요 의사결정이 늦어지거나 투자가 미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분명 존재했다.

특히 2018년 2월 국정농단 사건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석방된 이후 2년4개월만에 또 다시 총수 공백 상태를 맞을 뻔하자 삼성의 위기감은 최고조에 이르렀다. 삼성이 이 부회장의 영장실질심사를 앞두고 “삼성이 위기를 맞았다”고 호소문을 낸 배경 역시 코로나19 사태 속 총수 공백 위기가 어느 때보다 위중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김동양 NH투자증권 팀장은 “아직 파기환송심 선고가 남아있으나 그 과정도 잘 끝난다면 삼성의 불확실성 해소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본다”며 “최종심에서 형을 받느냐, 완전히 자유의 몸이 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이 현재 코로나19 사태로 쉽지 않은 가운데 최선을 다해 투자계획을 밝히고 있는 만큼 이 부회장의 구속영장 기각으로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만일 재계 1위 삼성이 총수 부재 상황을 맞았다면 정부의 경제 살리기 정책에도 힘이 빠질 뻔 했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여파로 국내 경기 위축이 예상되자 삼성, 현대차, SK, LG, 롯데 등 대기업이 투자를 늘리고 경제 활성화에 앞장서 달라고 주문했다.

또한 문재인 정부가 3대 중점 신산업으로 추진하는 바이오, 시스템 반도체, 미래차 부문은 삼성이 주력 사업으로 모두 영위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8일 기준 시가총액 상위 30위에는 부동의 1위인 삼성전자, 3위 삼성바이오로직스, 8위 삼성SDI, 12위 삼성물산, 22위 삼성SDS, 28위 삼성생명, 29위 삼성전기, 30위 삼성화재 등 삼성 계열사만 8개에 달하는 만큼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삼성의 위상과 영향력은 막강하다.

더욱이 그동안 삼성이 발표했던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 대규모 투자들은 이 부회장의 추진력을 통해 대부분 이뤄져 왔다.

실제로 최근 이 부회장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국내 사업장은 물론 중국 시안 반도체 방문 등 적극적으로 현장 경영 행보를 이어갔으며 현장을 둘러본 뒤에는 대규모 투자계획이 발표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뿐 아니라 삼성은 이 부회장이 파기환송심 재판을 받는 와중에도 지난해 발표한 ‘2030 반도체 비전’ 달성을 위한 133조원 규모의 투자를 충실히 실행에 옮겨왔다. 이 부회장은 지난 한달 사이 총 18조원 규모의 평택캠퍼스 반도체 생산라인 증설 계획을 내놨다.

재계 관계자는 “총수의 핵심적 역할 두 가지는 대규모 투자에 대한 결정권과 인사권”이라면서 “속도 경영이 중요한 반도체 및 전자는 적절한 타이밍에 투자가 이뤄지지 않으면 그 여파는 향후 5년후, 10년후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부회장의 구속영장은 기각됐으나 향후 정부가 현재의 과도한 상속세를 손봐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이재용 부회장을 구속시켜서 정부가 무슨 실익이 있는지도 고려해봐야 한다”면서 “현재 국내 중소·중견도 대기업과 똑같이 승계가 필요한 시간이 올 텐데 그때도 현재의 기준을 똑같이 적용할지 고민이 필요하다. 현재 기업의 상속세 부담은 최대주주가 2대를 넘기기 힘든 상황에 따른 제도의 문제도 있다. 상속(가업 승계) 문제에 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d

댓글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
광고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