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설계 기판···日 세계 점유 50%↑7일 日 후속조치 발표 예고 불안감 확산
지난 2일 일본 정부가 한국을 수출 우대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등 전방위적인 경제 보복 수준으로 압박을 높이면서다.
5일 반도체 업계에서는 지난달 4일부터 ‘수출 규제’ 품목에 포함된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포토리지스트(반도체 감광액)·플루오린 폴리이미드(강화필름)외에 웨이퍼 등 또 다른 ‘일본발 족쇄’가 채워지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웨이퍼는 반도체 기판이 되는 동그란 원판이다. 여기에 붉은 감광액을 뿌려 회로를 새긴 뒤 깎아야 반도체 칩이 완성된다. 일단 기판이 있어야 반도체가 공정되는 만큼 핵심 기본 소재로 분류되며 그만큼 공급에 민감하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웨이퍼 수입 규모는 4억7000만 달러(약 5500억원)로 추산되는데 이 가운데 일본 수입 비중이 39.7%에 달했다. 전 세계적으로도 일본산 점유율이 절반을 넘으며 미국과 독일이 각각 10%와 13% 수준이다. 국내 기업으로는 SK실트론이 유일하지만 9% 언저리에 머물러있다.
지난 1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 발행한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와 전망’ 보고서를 보면 2016년 기준 일본의 웨이퍼 제조공정용 장치 세계 시장 점유율에서도 ▲래핑장치(100%) ▲웨이퍼 그라인더(83%) ▲슬라이싱 장치(82%) 등 일본의 위상은 압도적이다.
실제 이 보고서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WTO(세계무역기구) 제소와 관련해 일본 정부가 한국의 반도체 산업을 노렸다면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보다 강도 높은 수출규제 수단을 선택했을 것”이라며 “일본의 산업 보호를 위해 이유 없이 수출을 제한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고 일본의 입장을 배경 설명으로 전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줄곧 주창한 “이번 수출 규제는 WTO 협정 위반이 아니다”라는 주장과 맞닿아 있다. 일본이 진짜 핵심 소재인 웨이퍼를 한국 수출 규제에 포함하지 않았으므로 WTO 협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자신들의 주장 근거를 세운 셈이다.
웨이퍼를 건드리게 되면 그만큼 WTO 협정 위반 등 논란의 여지가 심화할 것으로 판단하고 당장은 일본 정부가 교묘하게 회피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 보고서와 이 주장마저도 화이트리스트 배제 전에 나오고 분석됐다는 점에서 여전히 웨이퍼마저 일본 수출 규제의 영향을 받을 것이란 반도체 업계의 불안감은 꺼지지 않고 있다.
한동희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웨이퍼 공급 약 85%를 일본 업체가 차지하고 있다”며 “미라이얼(일본)은 삼성전자향, 시네츠(일본)는 SK하이닉스향으로 납품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일본의 한국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품목 확대 시 한국향 수출 비중이 높은 웨이퍼도 규제 대상 품목”이라고 냉정히 지목했다.
일본 정부는 오는 7일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한 이후 구체적인 안을 또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 수출 규제 품목을 이날 더 확대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전부 국내 반도체 업계가 일본산 웨이퍼 공급 불안을 느끼는 이유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일본 정부의 움직임과 현실적으로 닥칠 일들을 시시각각 파악하고 있다”며 “마치 꽃놀이패 꺼내듯이 규제를 강화해나가는 일본 정부 움직임을 보면서 웨이퍼에 대한 불안감도 퍼지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dori@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