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중소형 증권사
'총파업' 예고한 MG손보 노조···이제는 새정부에 해결 요구
MG손해보험의 가교보험사 전환을 두고 노조가 총파업 및 대통령실 앞 집회를 예고하며 새 정부에 해결을 요구했다. 금융당국과 예금보험공사는 노조 반발과 무관하게 구조조정 및 전환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업계는 매각 지연이 124만 명의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진그룹이 창립 80주년을 맞아 '비전 2045'를 선포하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을 중심으로 항공·우주·미래 모빌리티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한다. 대규모 기단 현대화와 우주항공,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2045년 매출 60조원 시대를 목표로 100년 기업 도약을 선언했다.



직장人
"우려가 현실로"···삼성전자, 2분기 어닝쇼크(종합)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1년 만에 반토막났다. 이는 시장의 기대치를 한참 밑도는 '어닝쇼크'를 거둔 것이다. 주로 재고 충당, 첨단 인공지능(AI)칩에 대한 대중 제재 등으로 인한 반도체 부문의 부진 탓이 컸다. 삼성전자는 7일 2025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4조원, 영업이익 4조6000억원의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 실적의 경우 전기 대비 매출은 6.49%, 영업이익은 31.24%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 보면 매출은 0.09%, 영업이익은 55.94% 감소했다.
biology
'돼지 췌도 이식' 준비만 20년···제넨바이오, 국내 최초 임상 돌입
이종장기 개발사업을 하는 제넥바이오가 올 상반기 무균 돼지 췌도를 1형 당뇨병 환자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에 착수한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이종이식학회(IXA) 기준을 준수한 이종이식 임상시험은 제넨바이오가 최초다. 김성주 제넨바이오 대표는 8일 서울 웨스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종췌도이식 임상시험 계획 등을 공개했다. 2019년 바이오사업을 시작한 제넨바이오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출범한 이종이식제품 연구개발기
신흥 주식부자
철강업계 숨은 실력자···해외 거점 확대 나선다
신스틸이 지난해 12월 스팩 합병상장 이후 철강업계 숨은 실력자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신승곤 신스틸 대표의 지분가치도 1100억원대로 껑충 뛰었다. 지난 7일 기준 신 대표의 지분가치는 국내 상장사 개인주주 기준 244위를 기록했다. 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승곤 대표의 지분가치는 전날 기준 1197억4320만원으로 집계됐다. 신 대표는 1943만8827주, 약 48.2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이사 특수관계인은 총 10명으로 석진광(4.6%), 임
투자의 '씬'
인구 70%가 쿠세권···'물류 결실' 맺는 쿠팡
우리나라 인구의 70%는 쿠팡 물류센터 반경 15분 거리인 '쿠세권'에 산다. 물류는 쿠팡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힌다. 쿠팡은 지난 2014년 로켓배송을 시작한 이후 6조원에 이르는 누적 적자를 감수하면서도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왔다. 쿠팡 창립 이후 로켓배송 물류망 구축에 들인 비용만 해도 6조2000억원에 달한다. ◇수익성 빨간불 우려에도 공격 투자…흑자전환 드라마 썼다 = 그간 쿠팡의 투자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평가가 다수였다. 하지만 쿠팡은
산업
포스코인터, 3분기 영업익 3159억원···전년比 11.6%↓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올해 3분기 영업이익 315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올 3분기 매출이 8조2483억원, 영업이익이 3159억원이라고 27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3% 줄었고 영업이익은 11.6%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2097억원을 기록했다.
유통·바이오
클래시스, 브라질 유통망 직접 구축···채권 리스크 해결 나서
클래시스가 브라질 최대 의료기기 유통사 JL헬스를 인수하며 현지 시장 불확실성 해소와 채권 회수 문제 직접 관리를 추진했다. 이번 인수로 브라질 전역에 직판망을 구축, 기존 미회수 채권 일부 상각 등 재무적 부담을 줄였으나 환율, 인건비, 복잡한 현지 제도 등 남은 과제는 여전하다.
IT
3분기 '숨고르기' 돌입한 SI 업계···신사업·해외 공략은 '착착'
주요 SI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은 정체를 보였으나, 현대오토에버만이 두자릿수 성장세로 주목받았다. 삼성SDS와 LG CNS는 클라우드 사업과 AI 인프라 프로젝트, 해외 AI 데이터센터 진출로 미래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4분기 이후 신사업 확대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통해 실적 반등이 기대된다.
금융
우리은행, SK이노 자회사 선순위 인수금융 2.6조원 주선 완료
우리은행이 SK이노베이션 자회사인 나래에너지서비스와 여주에너지서비스의 신규 투자 유치에 필요한 3조원 중 2조6000억원의 인수금융을 대표 주선기관으로서 성공적으로 조달했다. 이번 거래는 2025년 기준 최대 규모 인수금융으로, 에너지 인프라에 민간 자본을 연결하고 장기·한도대출 이중 구조로 금융 안정성과 유연성을 높였다. SK그룹 사업 재편 속 우리은행은 IB그룹 역량과 그룹 시너지를 바탕으로 대형 복합 금융 거래를 선도했다.
증권
최영진 한화운용 CMO, "미중 패권 전쟁, K방산 성장의 기회"
미중 패권 경쟁 장기화와 신냉전 구도 속에서 K방산이 글로벌 성장의 기회를 맞고 있다. 방위산업은 첨단기술과 공급망 재편에 힘입어 중동·동유럽을 중심으로 수출 확대와 실적 호조를 이어가고 있으며, 한화자산운용의 K방산 ETF도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는 등 한국 방산업체들의 국제적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
부동산
'공공'주도 주택공급 확대가 어려운 이유
정부가 수도권 135만호 주택 공급을 목표로 세웠으나, LH와 SH 등 공공기관의 공급 역량이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공공 중심 주택정책은 사업 지연과 민간 시장 위축, 분양가 상승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하며, 도급형 민간 참여사업과 재개발·재건축도 현실적으로 난관에 봉착했다.
ESG경영
"우려가 현실로"···삼성전자, 2분기 어닝쇼크(종합)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1년 만에 반토막났다. 이는 시장의 기대치를 한참 밑도는 '어닝쇼크'를 거둔 것이다. 주로 재고 충당, 첨단 인공지능(AI)칩에 대한 대중 제재 등으로 인한 반도체 부문의 부진 탓이 컸다. 삼성전자는 7일 2025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4조원, 영업이익 4조6000억원의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 실적의 경우 전기 대비 매출은 6.49%, 영업이익은 31.24%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 보면 매출은 0.09%, 영업이익은 55.94% 감소했다.
항공·해운
'수송보국 80년' 한진그룹 "매출 2배 성장"···다시 쓰는 100년 비전
한진그룹이 창립 80주년을 맞아 '비전 2045'를 선포하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을 중심으로 항공·우주·미래 모빌리티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한다. 대규모 기단 현대화와 우주항공,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2045년 매출 60조원 시대를 목표로 100년 기업 도약을 선언했다.